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ableau
- 패스트캠퍼스 #자료구조 #코딩테스트 #배열
- 교환학생
-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 MairaDB
- 데이터 포트폴리오
- HEG
- 파이썬
- 두잇알고리즘코딩테스트
- 태블로 포트폴리오
- 제네바주거
- 아셈듀오 후기
- 아셈듀오
- 제네바
- 교환학생 장학금
- 키워드시각화
- 미래에셋 공모전
- 무신사 데이터분석
- 공모전후기
- 아셈듀오 선정
- 데이터 시각화 포트폴리오
- 리뷰분석
- 데이터공모전
- 테이블계산
- 제네바기숙사
- 텍스트분석 시각화
- CRM
- 제네바경영대학교
- 교환학생주거
- 태블로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02)
민듀키티
조합론과 연관깊은 알고리즘 - DP이항계수 구하기가 조합론 문제의 핵심 1. 이항계수 구하기# 이항계수 구하기n,m = map(int, input().split())D = [[ 0 for i in range(n+1)] for j in range(n+1)]# 점화식 초기화for i in range(n+1) : D[i][i] = 1 D[i][0] = 1 D[i][1] = i# 점화식 구현for i in range(2,n+1) : for j in range(1,n+1) : D[i][j] = D[i-1][j] + D[i-1][j-1]print(D[n][m]) 2. 부녀회장이 될테야n = int(input()) #질의수D = [[ 0 for i in range(15)]for ..
1. 소수 구하기에라토스테네스의 채 원리 : 구하고자 하는 소수의 범위만큼 1차원 리스트 생성 -> 2부터 시작하고 현재 숫자가 지원진 상태가 아닌 경우 현재 선택된 숫자의 배수에 해당하는 수를 리스트에서 끝까지 탐색하면서 지움 -> 리스트 끝까지 반복한 후 리스트에 남아있는 수 출력for 문을 돌면서 이미 소수가 아니라고 판별된 것 ( A[i] == 0 ) 인 것은 continue로 건너뛰고for i in range(i+i, m+1, i) 코드를 통해 배수를 계속해서 지워나감마지막으로 0 이 아닌 것은 출력하기 import math#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원리 이용n,m = map(int, input().split())A = [0] * (m+1)for i in range(2,m+1) : A[i] =..
내가 풀이한 그리디 문제 1. 프로그래머스 구명보트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5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def solution(people, limit): A = list() for person in people : A.append(person) A.sort() A = deque(A) count = 0 while len(A)>1: da..
DP 복습하려고 쓰는 글임 !! 1. RGB 거리 input array을 바탕으로 dp 2중 리스트 만들어서 구현DP 의 전형적인 문제 중 하나점화식 도출 아이디어가 매우 중요DP[i][0] = min(DP[i-1][1], DP[i-1][2]) + arr[i][0]https://www.acmicpc.net/problem/1149 나는 왜 뒤에서부터 내려올려고 했을까 .. ?# Input 값 받기N = int(input())A = [] * Nfor i in range(N) : A.append(list(map(int, input().split())))# 점화식 초기화D = [[0 for i in range(3)] for j in range(N)]D[0][0] = A[0][0]D[0][1] = A[0]..
* 다양한 프로그래머스, 해커랭크 문제를 풀어보면서, 자주나오는 코드 및 헷갈리는 코드를 중심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SELECT - DISTINCT -FROM - JOIN - ON - WHERE - GROUP BY - HAVING - ORDER BY - LIMIT - OFFSET 1. PARTITION BY - 분석 함수를 사용할 때, PARTITION BY 함수를 사용해서 그룹으로 묶어서 계산할 수 있음 - Group by 절을 사용하지 않고, 각 그룹의 집계값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함분석함수([칼럼]) OVER(PARTITION BY 칼럼1, 칼럼2... [ORDER BY 절] [WINDOWING 절]) - 윈도우 함수 사용RANK() OVER (PARTITION BY 00 ORDER BY 00) a..
1. Information and behavioral economics (1) Asymmetric information Information asymmetry : a difference in two or more parties' access to relevant knowledge Two types Hidden actions : one persons knows more than another about an action he or she is taking Hidden characteristics : one person knows more than another about the attributes of the good he or she is selling or about his or her own char..
1. Monpolies (1) Why monopolies arise Barries to entry (3 resource) Ownership of a key resource The goverment gives a single firm the exclusive right to produce and some good (patent, copyright) Costs of production make a single producer more efficient than a large number of producers. natural monopoly : when a single firm can supply a good or service to an entire market at a smaller cost ( econ..
1. Externalities (1) Externalities and market inefficiency Externality the uncompensated impact of one person's actions on the well - being of a bystander. 즉, 한 경제주체가 다른 경제주체에게 피해를 주면서도, 영향이 시장가격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 Negative - the bystander is adverse ( larger quantity than is socially desirable ) Automoblie exhaust Cigarette smoking Barking dogs Loud stereos in an apartment building Any pollution or en..
1. Public Goods (1) The different kinds of goods Excludability : the property of good whereby a person can be prevented from using it ( 내가 소비를 하면, 다른 사람이 소비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음) Rivarly : the property of good whereby one person's use diminishes other people's use. Four types of goods : Public goods, Private Goods, Common Goods, Natural Monoploies Private Goods : both excludable and rival Public Goods :..
1. Price controls (1) Price Ceiling vs Price Floor Price Ceiling (가격상한) : maximum on the price The price ceiling is binding if set below the equilibrium price -> leading shortage. Price Floor (가격하한) : minimum on the price (2) Price Ceiling (a) A Price Celling That is not binding -> above the equilibrium price (b) A Price Celling That is binding -> below the equilibrium price -> leading short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