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교환학생주거
- 미래에셋 공모전
- 파이썬
- 교환학생
- tableau
- CRM
- 데이터 포트폴리오
- MairaDB
- 리뷰분석
- 교환학생 장학금
- 태블로 포트폴리오
- 텍스트분석 시각화
- 키워드시각화
- 제네바기숙사
- 공모전후기
- 아셈듀오
- HEG
- 제네바주거
- 제네바
- 아셈듀오 후기
- 제네바경영대학교
- 테이블계산
- 데이터공모전
-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 아셈듀오 선정
- 두잇알고리즘코딩테스트
- 데이터 시각화 포트폴리오
- 무신사 데이터분석
- 태블로
- 패스트캠퍼스 #자료구조 #코딩테스트 #배열
- Today
- Total
민듀키티
DACON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기술 정보 시각화 경진대회 우수상 본문
1. 들어가며
DACON에서 주관한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기술 정보 시각화 경진대회"로
Python, Tabluea를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분석 주제는 "기후기술과 관련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 입니다.
저희 팀은 "글로벌 기후기술 수요와 국내 보유 기술의 매칭 전략 리포트" 라는 주제를 선택하였습니다.
기후기술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수요와 공급 매칭" 이라는 관점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관점의 분석과 함께 기후기술 정기 리포트로 활용할 수 있는 태블로 대시보드를 제작하였습니다.
[태블로 퍼블릭 링크]
https://public.tableau.com/app/profile/jimin.kang/viz/DACON_16574187709920/1
DACON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기술 정보 시각화
DACON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기술 정보 시각화 작성자 : 강민주, 강지민
public.tableau.com
[DACON 리더보드 링크]
https://dacon.io/competitions/official/235911/codeshare/5422
글로벌 기후기술 수요와 국내 보유 기술의 매칭 전략 리포트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기술 정보 시각화 경진대회
dacon.io
2. 문제인식
our world in data 사이트에서 "연도별 탄소배출량"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EDA 분석을 시도해보았습니다.
전 세계의 탄소배출량은 꾸준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증가 기울기가 2005년 이후로 급격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전 세계의 탄소 배출량 시각화 결과 산업혁명 이후로, 탄소 배출량은 2020년까지 매년 증가하였으며, 탄소배출량 TOP 15 국가는 대부분이 선진국이었습니다.그럼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비교했을 때, 연도별 탄소 배출량 증감 추이는 어떠할까요 ?
그래프에서도 알 수 있드시, 선진국의 탄소 배출량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오히려 개발도상국은 가파르게 탄소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기술 개발력이 높은 선진국과 기술 개발력이 낮은 개발도상국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추가 EDA 과정은 위의 데이콘 리더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주제 선정 및 목표
따라서, 저희 팀은 탄소배출량 문제는 한 국가만의 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에 전 세계가 다 함께 협력해야 함의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그렇기에 "글로벌 기후기술 수요와 국내 보유 기술의 매칭 전략 리포트" 라는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대시보드 흐름]
- 탄소 관련 글로벌 현황과 이슈
- 글로벌 기후기술 수요
- 국내 보유 기후기술 현황
- 기후기술 활성화를 위한 수요와 공급 현황
4.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 데이터 크롤링 및 전처리 코드는 위의 데이콘 리더보드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 [Our world in data] 연도별 탄소 배출량 |
2 | [CTIS] 기후기술 수요 크롤링 [CTIS] 기후기술 국내 보유기술 크롤링 [CTIS] 기후기술 News, 신기술 News 크롤링 [CTIS] 기후기술 수요 크롤링 [CTIS] 기후기술 국내 보유기술 크롤링 [CTIS] 국제 사업 현황 [CTIS] 국내 사업 현황 |
3 | [KOSIS] 기후기술 영역별 해외진출지역 [KOSIS] 기후기술 기후기술 영역별 기업 및 기관의 누적 특허 건수 [KOSIS] 기후기술 영역별 기관규모별 매출액 [KOSIS] 기후기술 영역별 기관규모별 연구원 수 |
4. 대시보드 소개
(1) 탄소 관련 글로벌 현황과 이슈
탄소 배출량이 늘어나면서 탄소중립은 모두가 대비해야 할 글로벌 이슈가 되었습니다. 이는 한 국가만의 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에 전 세계가 다 함께 협력해야 합니다. 전 세계의 탄소 배출량 현황과 이슈를 분석해보았습니다.

주요 인사이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선진국의 탄소 배출이 많았던 과거와 달리, 최근 20년 간 개발도상국의 탄소배출량이 급증 (1960-70년대 기준 중국 4위, 인도 12위 → 2000년대 이후 중국 1위, 인도 3위)
- 전세계 중에서 중국과 미국의 탄소배출량이 압도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
- 대륙의 기준으로 탄소 배출량을 확인했을 때, 개발도상국이 많이 분포한 ‘아프리카'와 ‘아시아'는 시간이 지날수록 탄소배출 증가. 선진국이 많이 분포하는 ‘유럽', ‘북미&오세아니아’는 비교적 배출량이 감소하는 형태
- 전세계 탄소 배출량은 증가하는 모습
(2) 글로벌 기후기술 수요
앞서 살펴보았듯이 탄소배출에 심각성을 느끼고, 전 세계는 기후변화 대응, 저탄소, 청정,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회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면서 “기후기술 개발, 협력 지속”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후기술 협력 활성화 발판 마련을 위해 전 세계의 기후기술 수요를 파악해야 합니다.
기후기술 수요 파악을 위해 "기후기술 CTC Section" 별로 "국가별&대륙별" 로 분석하였습니다.

- 2022년 기준 전세계 기후기술 수요 건수는 1,582개
- 국내 보유 기술이 가장 많이 진출한 지역은 아시아(2,518개) 였으며 이어서 북미, 서유럽, 동유럽, 중동 중남미 순
- 대륙별로 기후기술 수요를 확인했을 때, 수요가 많은 대륙은 아시아와 아프리카
- 아시아의 경우 재생에너지, 해양,수산&연안, 온실가스 고정 Section에 대한 수요가 많았음
- 아프리카의 경우 해양,수산&연안, 재생에너지, 에너지수요, 송배전&전력IT Section에서 큰 수요 확인
- CTC Section별 수요를 확인했을 때, 농업&축산(23.14%), 재생 에너지(19.47%), 에너지 수요(18.2%) 순으로 많았음
- 기후기술 수요가 높은 상위 3개국은 몰도바(65개), 스리랑카(55개), 베트남(40개)
- 전체 기후기술 수요(1,582개)의 구성 비율은 적응(52.72%), 감축(46.02%), 감축/적응 융복합(1.26%)
- CTC Section 내 수요가 높은 상위 3개 기술은 태양광 발전(18개), 풍력 발전(12개), 탄소 포집 및 저장 (10개개)/태양열 온수기 (10개)
(3) 국내 보유 기후기술 현황
기후기술 협력 활성화 발판 마련을 위해 전 세계의 기후기술 수요를 파악하였다면,
우리나라의 보유하고 있는 기후기술 현황 에 대해서 파악하여 수요-공급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기후기술 동향을 확인하여, 국내 기후기술 발전 방향성에 대해서도 인사이트를 얻고자 합니다.

- 국내 보유기술 수가 많은 상위 3개 기술은 재생에너지, 신에너지, 비재생에너지
- CTC Sector별 기술 상위 3개는 연료전지, 태양열, 원자력 발전
- CTC Division별 기술 상위 3개는 한국특허전략개발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
- 대부분의 기후기술은 기술 생애주기 중 기술성장기에 위치한 상황
- 특히 에너지수요와 재생에너지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
- 실제로 국내 특허수도 에너지수요와 재생에너지가 전체 기후기술 관련 특허의 절반 이상을 차지
(4) 기후기술 활성화를 위한 수요와 공급 현황
기후기술의 수요와 보유 현황을 알아봤다면, 이를 종합하여 기후기술 활성화를 위한 수요와 공급을 비교 분석하고자 합니다.

- 기술 수요가 많은 상위 3개 기술은 작물 재배 및 생산(138개), 수송 효율화 (69개), 해양에너지 (53개)
- 보유 기술이 많은 상위 3개 기술은 해양에너지(91개), 수송효율화(20개), 작물 재배 및 생산 (18개)
- 국내 보유 기술이 많이 진출한 상위 3 국가는 베트남, 캄보디아, 몽골 순이며 모두 아시아에 위치한 국가
- 국제기구 자금으로 추진되는 국제 기후기술 사업현황이 많은 국가는 중국, 브라질, 멕시코, 인도 순이었음
- 기후기술 관련 활발한 사업을 진행 중인 CTC Section은 국제 기준 에너지수요, 물관리, 농업&축산이었으며 국내 기준 농업&축산, 에너지수요, 물관리였음
- 최근 15년동안 국내 기술협력 사업 예산과 수는 증가하는 추세
- 국내 기관 중 기술협력 사업을 많이 진행한 기관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 CTC Section별 수요와 기술 보유를 비교했을 때, 물관리/에너지수요/농업&축산/다분야중첩/기후변화예측 및 모니터링/건강/해양,수산&연안/산림&육상 부문에서는 보유 기술 수보다 수요가 더 컸음을 확인
- 따라서, 해당 부문들에 대한 추가적인 기술 지원 및 연구가 필요
5.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Data Contest &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기업데이터 제2회 빅데이터 시각화 아이디어 공모전 대상 (0) | 2023.04.19 |
---|---|
무신사 구두셀러를 CRM 마케팅 솔루션 프로젝트 (0) | 2023.04.17 |
2021 미래에셋 금융 빅데이터 페스티벌 우수상 (0) | 2022.08.12 |